목록전체 글 (44)
가이섬.com > 블로그

# 1712 import math a, b, c = map(int, input().split()) margin = c - b if margin =2)번방에는 숫자가 6(N-1)개가 오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각 방의 숫자의 개수를 수열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그럼 각 방에서의 마지막 숫자를 구하는 방법은 1번부터 N번방까지의 모든 숫자의 개수가 될 것이다. 이것을 수열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다음으로 입력 받은 숫자 K가 몇번방에 있는지 구하는 방법이다. 만약 입력 받은 숫자 K가 13이라고 가정해보자. 그럼 13은 bn보다 작으면서 n은 최소가 되어야 하고 그때의 n이 정답이 될 것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방정식의 해를 구해야 한다. 단, n은 반드시 양수여야 한다. 그렇기 위해서는 n..
# 11654 print(ord(input())) 해설: 문자의 ASCII 코드를 리턴해주는 ord 함수를 이용한다. # 11720 input() print(sum(map(int, input()))) 해설: 문자의 개수는 쓸 필요가 없으니 input()만 써준다. 그 다음줄에 입력되는 문자열을 map을 통해 int로 바꿔주고 sum을 이용해 합을 구해준다. # 10809 import string s = input() for a in string.ascii_lowercase: print(s.find(a), end=' ') 해설: string 모듈을 import 하면 a부터 z까지의 각 알파벳을 하나의 문자열로 쓸 수 있는 string.ascii_lowercase가 있다. a-z를 for문을 이용해 입력 받..
# 15596 def solve(a: list) -> int: return sum(a) 해설: 간단하게 sum을 이용해준다. # 4673 def d(n: int) -> int: result = n while n != 0: result += n % 10 n //= 10 return result num = [] for i in range(1, 10000): c = d(i) while c not in num and c bool: if len(x)
# 10818 n = input() k = list(map(int, input().split())) print(min(k), max(k)) 해설: 사실 n은 필요가 없다. 그냥 입력 형식을 맞춰주기 위해 넣어뒀다. n=input()이라 할 것도 없이 그냥 input()만 두고 넘겨줘도 괜찮다. 그리고 k는 한줄로 입력 받은 정수들을 list로 저장해둔 변수이다. 이때 파이썬의 내장함수인 min과 max를 통해 간단히 최솟값과 최댓값을 구할 수 있다. # 2562 k = [int(input()) for i in range(9)] m = max(k) print(m) print(k.index(m) + 1) 해설: k에 총 9번의 입력을 받은 list를 저장한다. 그리고 m에 k의 최댓값을 저장한다. 그리고 l..